[필사노트] 은혜를쓰다

사이즈 150*204mm


결국 말씀에 머물러야 한다!
곤고한 날을 은혜로 채우라!
자, 은혜를 쓰자. 은혜를 입고 쓰고 보내자.

 
은혜를 쓴다는 것!
은혜를 기록한다고 읽을 수도 있지만 은혜를 입는다라고 읽을 수도 있다.
나아가 은혜를 사용한다, 흘려보낸다는 뜻도 된다.
 
즉 하나님으로부터 은혜를 입어, 은혜를 손으로 써보고
은혜를 다른 이에게 흘려보내는 전 과정이
실제 오늘의 우리 삶에 일어나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필사성경이 『은혜를 쓰다』이다.
 
자, 은혜를 쓰자.
은혜를 입고 쓰고 흘려보내자.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곤고한 날이 있습니다. 이해할 수 없고 감당하기 버거운 그런 날입니다. 그런 날 1부 ‘곤고한 날의 말씀’을 펼쳐 보십시오. 어느 부분이든 상관없습니다.
때때로 형통한 날이 있습니다. 그냥 흘려보내고 마는 날들이 있습니다. 쉬이 그런 날은 어제가 되어 버리고 오늘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그런 날 2부 ‘형통한 날의 말씀’을 펼쳐 보십시오. 어느 부분이든 상관없습니다.
 
하나님은 지금 내게 말씀하고 계십니다.
또한 아주 가까이 계십니다.
내가 인지하든 그러지 못하든, 느끼든 그러지 못하든.
하나님께서 내게 어떤 말씀을 하고 계신지 찬찬히 살피며 따라가 보십시오.
말씀에 머물러 보십시오.
충분히 머물러 보십시오.
이 책이 말씀에 머물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형통한 날에는 기뻐하고
곤고한 날에는 되돌아보아라
_전도서 7장 14절

 
◆ 구성
필사노트: 그리스도인에게 꼭 필요한 암송구절 400절을 쓸 수 있게 구성
개역개정 성경, 새번역 성경: 개역개정 성경본문 아래 새번역 성경을 붙여, 말씀 이해를 도움
묵상하기: 성경의 이해와 묵상을 돕기 위한 Tip

◆ 들어가는 글
꽃잎이 다 떨어진 것 같은, 은혜가 다 사라진 것 같은 그런 날이 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도 그런 날이 있습니다. 어떨 때에는 믿음이 없어서 그런 날이 찾아온 것 같기도 하고, 어떨 때에는 제대로 믿고 있어서 그런 날이 찾아온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 날, 평소처럼 성경 읽기나 묵상은 잘되지 않지요. 기도조차 쉽지 않은 날이니까요. 하나님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무엇부터 해야 할지 암담할 정도입니다. 머리로는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그만두어야 하는지 알지만 몸과 마음은 따라주지 않습니다.
그런 날 펼쳐 보십시오. 어느 부분이든 상관없습니다.
 
◆ 본문 중에서
우리의 삶 속에서 주어진 모든 날들을 어떻게 지혜롭게 보낼 수 있을까요?
전도서의 전도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형통한 날에는 기뻐하고 곤고한 날에는 되돌아보는 것’입니다(전 7:14). 주어진 날들을 그 모습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조언이지요. 왜냐하면 우리에게 주어진 모든 날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하나님은 이 모든 일을 다 사용하여 ‘선’을 이루어 가시기 때문입니다(롬 8:28).
_묵상하기 중에서, 8쪽
 
하나님의 백성에게 고난은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하나님이 베푸시는 기적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고난 중에 하나님께 부르짖으면, 감사와 찬양의 제목을 얻게 될 것입니다. 우리의 흔한 오해 중 하나는 하나님께 불평이나 탄식과 같은 고백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에는 이러한 고백이 담겨 있습니다. 특별히 탄식시는 시편의 3분의 1이 넘지요. 하나님을 향한 탄식과 대적을 향한 저주가 기록된 시들은 우리가 이런 일로 인해 죄에 빠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_묵상하기 중에서, 18쪽
 
바울 사도는 고린도전서 12장을 마치면서 은사를 사용하는 “가장 좋은 길”(고전 12:31)을 제시합니다. 그것은 바로 ‘사랑’입니다. 사랑은 그리스도인의 행동강령인 십계명의 요약이고 예수님이 주신 새 계명이며 성령의 열매(갈 5:22)이자 그리스도인의 삶을 지배하는 원리이지요. 그래서 은사에 대한 설명인 12장과 14장 사이에 13장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13장에 나오는 이러한 사랑으로 행해지는 은사들을 통해서 교회는 든든히 세워져 갑니다.
_묵상하기 중에서, 150쪽
 
도마의 질문(요 14:5)에 예수님은 자신이 하나님의 진리이고 생명이기 때문에 하나님께 이르는 단 하나의 길이라고 말씀하십니다(6절). 특히 요한복음 14장 6절은 예수님만이 하나님 아버지께 이르는 유일한 길이라는 사실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다른 길이 아니라 오직 한 길, 곧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께 갈 수 있는 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예수님 이외에 구원 받을 수 있는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적이 없습니다!(행 4:12).
_묵상하기 중에서, 158쪽

 

 

 

◆ 차례
1부 곤고한 날의 말씀
2부 형통한 날의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