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론이 세계 신학계의 화두로 떠오른 오늘,
최신의 신학론인 관계적 삼위일체를 논한다!


21세기의 급속한 세속화와 거대한 안티 기독교의 흐름 속에서 관계적 삼위일체가 새로운 신학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개인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오늘의 시대상황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방식을 가르치는 관계적 삼위일체론은 엄청난 비극들(인종ㆍ민족ㆍ성ㆍ계급 차별, 문명ㆍ종교 갈등 등) 앞에서 향후 인류문명이 나아가야 할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웨슬리신학연구소는 삶의 원리로서의 관계를 중시하고 이를 기독교인의 구체적인 삶과 긴밀하게 연결하여 삼위일체를 우리의 친숙한 교리로 삼기 위해, 인간과 사회와 세계의 구원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오심에 기여하기 위해 삼위일체를 특성화하고 전문화한 ‘관계적 삼위일체론’ 프로젝트를 해당분야에 정통한 신학자들과 함께 기획하였다. 여기에 수록된 논문들은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로서 ‘관계’를 주제로 삼위일체론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삼위일체론의 역사 속에서 ‘관계’와 연관된 다음의 저명한 학자들의 삼위일체론을 고찰한다.
ㆍ카파도키아 교부들
ㆍ아우구스티누스
ㆍ생 빅또르의 리샤르
ㆍ토마스 아퀴나스
ㆍ장 칼뱅
ㆍ요나단 에드워즈
ㆍ칼 바르트
ㆍ위르겐 몰트만
ㆍ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ㆍ레오나르도 보프
ㆍ존 지지울라스
ㆍ캐서린 모리 라쿠나



차례


프롤로그 

1.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_곽혜원
2.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_김옥주
3. 생 빅또르의 리샤르의 관계적 삼위일체론_백충현
4. 토마스 아퀴나스와 관계적 삼위일체론_정원래
5. 칼뱅의 관계적 삼위일체론_최윤배
6. 요나단 에드워즈의 관계적 삼위일체 이해_이승구
7. 칼 바르트의 계시론에 근거한 관계적 삼위일체론_황덕형 
8.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_곽혜원
9.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_조현철
10. 레오나르도 보프의 관계적 삼위일체론_김영선
11. 존 지지울라스의 관계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해_김은수
12. 캐서린 모리 라쿠나의 관계 존재론적 삼위일체 신학_이동영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