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라이트 칭의론에 대한 예리하고 균형 잡힌 비판서!"


모든 전통은 점검되어야 한다는 기치 아래 종교개혁의 칭의론을 새롭게 해석해 낸 톰 라이트의 칭의론,

하지만 박영돈 교수는 라이트의 새 관점만으로든 바울의칭의론이 일관되게 해석되지 않으며.

때로는 성경의 분명한 메시지를 오해할 소지가 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톰 라이트 비판서들이 취했던 조직신학의입장이 아니라,

철저히 성경신학의 관점에서 톰 라이트의 칭의론을 분석하고 비판함으로써 한국 교회가 종교개혁의 칭의론에

굳건히 뿌리내려야 한다고 강력하게 호소한다.


차례


머리말

1장 라이트의 칭의론 해석의 틀
샌더스의 배경: 언약적 율법주의

던의 배경: 율법의 행위

라이트의 언약적 신실성

2장 갈라디아서 주해
갈라디아서 2:11-16 

갈라디아서 3:10-13

갈라디아서 4-5장

3장 로마서 주해
로마서 1:16-17

로마서 2장

로마서 3장

로마서 4장

로마서 5-8장

로마서 9-11장

4장 주석적 문제
해석의 전제

언약적 율법주의

율법의 행위

연장된 유배기?

하나님의 의는 언약적 신실성?

5장 신학적 문제
구원의 개인적 차원

전가 교리 

이중 칭의

구원의 확신

6장 바울의 칭의론
구약의 배경: 하나님의 의와 하나님 나라

인간의 불의와 하나님의 의 출현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기초한 칭의

칭의의 열매: 성화와 영화

칭의와 최후의 심판

두렵고 떨림으로 이루어 가야 할 구원

칭의와 하나님 나라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