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연합운동의선구자! 부써-황대우저
사이즈 : 128*188mm


칼빈 이전의 칼빈주의자! 마르틴 부써.

마르틴 부써는 1540년 전후로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종교개혁자로 급부상했다. 당시 그의 명성은 결코 루터에 뒤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그의 명성은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하나는 1540년 전후의 로마교회와 개신교회 사이의 교회연합운동이 그의 소망과 달리 성공적이지 않았고, 이에 대한 모든 비난의 화살을 그가 홀로 맞으며 견뎌야 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슈말칼덴 전쟁에서 개신교연합군이 황제군에게 패배하여 황제가 잠정안(Interim)을 받아들이도록 스트라스부르에 강요했을 때, 그가 수용을 반대하여 도시에서 추방되었기 때문이다.
역사 속에 묻혀 있던 그의 이름은 20세기 초, 교회연합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세상에 빛을 보게 되었다.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써는 한국의 칼빈 전공자들에게는 익숙한 이름이지만 대부분 기독교인에게는 여전히 아주 낯선 이름이다. 그는 제네바 종교개혁자 칼빈이 진심으로 존경한 인물이다. 심지어 칼빈이 초기에는 불가시적 교회만을 강조했는데, 3년간 스트라스부르에 체류하면서 부써에게 가시적 교회의 중요성을 새롭게 배우고 인식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지은이 황대우
고신대학교에서 신학과(BA), 신학대학원(M.Div.), 일반대학원(Th.M.)을 졸업한 후, 네덜란드 기독개혁교단소속의 아펠도른신학대학(Theologische Universiteit te Apeldoorn)에서 마르틴 부써와 요한 칼빈의 교회론을 연구한 논문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으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고신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지금은 전임연구교수(비정년트랙)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차례
Chapter 01
어린 시절과 교육 • 29
고향 • 31
부모 • 33
교육 • 35
토마스주의자 • 39
인문주의자 • 40
루터주의자 • 45
Chapter 02
1523년 이전의 행적 • 49
수도사서약의 무효화 • 51
에베른부르크와 프란츠 폰 지킹겐 • 56
란트슈툴과 바이센부르크 • 62
Chapter 03
1520년대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 • 67
도시의 정부 구조 • 69
교회 조직 • 74
개혁의 시작 • 75
도착과 정착 • 78
성직자의 결혼 • 81
설교 목사 • 88
신학 논쟁 • 91
성상 제거 • 95
예배 개혁 • 100
교육 개혁 • 109
재세례파 • 115
성찬논쟁과 마르부르크 종교회담 • 128
Chapter 04
독일 남부의 종교개혁 • 149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 • 151
슈말칼덴 군사방어동맹 • 157
울름 종교개혁 • 165
아우크스부르크 종교개혁 • 169
1530년대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 • 176
Chapter 05
종교개혁의
내부적 교회연합운동 • 193
신앙고백서의 목적 • 195
헤센의 종교개혁 • 197
카셀 종교회담 • 201
비텐베르크 합의서 • 212
Chapter 06
종교개혁의 외부적 교회연합운동 • 231
1540년대 전후의 스트라스부르 • 233
칼빈의 스트라스부르 체류 • 238
라이프치히 모임 • 245
프랑크푸르트 평화협정 • 252
하게나우 교회연합회담 • 260
보름스 교회연합회담 • 269
레겐스부르크 제국의회 • 278
Chapter 07
1541년 이후의 종교개혁 • 287
레겐스부르크 제국의회 이후의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 • 289
쾰른의 종교개혁 • 299
Chapter 08
슈말칼덴 전쟁과
아우크스부르크 잠정안 • 319
슈말칼덴 동맹 • 321
제국의회들 • 324
슈말칼덴 전쟁과
아우크스부르크 잠정안 • 339
스트라스부르의 기독교 교제공동체 • 356
Chapter 09
영국생활과 말년 • 369
영국생활 • 371
죽음의 그림자 • 384
Chapter 10
결론 • 393
부써의 자리 • 395
부써와 한국교회 • 399